5장. Getting images into GIMP

차례

1. 이미지 타입
2. 이미지 편집하기
2.1. 새 파일 만들기
2.2. 파일 열기

1. 이미지 타입

고친 과정
고침 $Revision: 1757 $ 2006-05-02 Mr.Dust

하나의 창에 하나의 이미지나 하나의 JPEG 과 같은 파일을 읽는다라는 것은 상당히 근사한 일이다. 하지만 김프의 이미지는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레이어, 선택 마스크, 채널, 경로, "되돌리기" 기록 등 다양한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섹션에서는 이러한 이미지의 모든 구성요소들과 그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미지의 가장 기본적인 속성은 모드로 RGB, 회색톤, 인덱스의 세 가지 모드가 있다. RGB는 빨강-녹색-파랑 의 약자로, 이미지 내의 점들이 각각의 색상으로 표현됨을 의미한다. 사람이 인지가능한 색상은 빨강, 녹색, 파랑의 조합만으로도 모두 표현가능하기 때문에, RGB 이미지는 사실상 전 색상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색상 채널들은 각각 256 단계의 농도로 표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색상 모델 을 참조하시오.

회색톤 이미지는 각 점이 0(검정)에서 255(흰색)까지의 밝기 값을 가지는 여러가지 회색들로 표현된다.

회색톤 이미지와 RGB 이미지의 중요한 차이는 "색상 채널"의 수에 있다 (회색톤 이미지 한개, RGB 이미지는 세 개). 즉, RGB 이미지는 각각 빨강, 녹색, 파랑으로 색칠된 회색톤 이미지 석 장을 포개놓은 것과 같은 것이다.

사실 RGB 나 회색톤 이미지는 둘다 알파 채널이라 불리우는 색상 채널을 하나씩 더 갖고 있다. 이 알파 채널은 투명도로 표현되는데, 만약 어느 레이어의 일부분의 알파 채널 값을 0으로 만든다면, 그 부분은 완전히 투명하게 되어 하단의 레이어를 그대로 비추게 된다. 그리고 반대로 알파 채널값이 255면 완전히 불투명하게 되어, 해당 레이어가 가진 색상을 그대로 보여주게 된다. 그리고 중간 값을 가지는 부분들은 반투명한 상태가 되어 해당 레이어와 하단의 레이어에 있는 색상들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그림 5.1. RGB와 그레이스케일 모드의 예제

RGB와 그레이스케일 모드의 예제
RGB와 그레이스케일 모드의 예제

김프의 모든 색상 채널은 0부터 255의 값(8비트)을 가지는 알파 채널을 가지고 있다. 간혹 16비트의 색상 채널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로 찍은 파일을 김프로 읽을 경우 어느 정도의 손실을 입게 된다. 대부분의 경우는 사람의 눈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정도지만, 간혹은 넓은 영역에 걸쳐 색상층이 지는 등 눈으로 보이는 색상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림 5.2.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알파채널을 가진 이미지 예

세번째 타입으로 약간은 복잡한 인덱스 이미지가 있다. 인덱스 이미지는 불연속적인 256 이하의 색상만을 가진다. 이 색상들은 이미지의 색상표를 구성하며 이미지의 각 점은 이 색상표에 있는 색들로 표현된다. 인덱스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아주 작은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10년 전만 하더라도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인덱스 이미지의 사용빈도는 점점 줄어왔지만 여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몇가지 편집 방법들은 인덱스 이미지로 구현하는 것이 연속적인 색상을 가진 RGB 이미지에 비해 수월하기 때문이다.

GIF 등 많이 사용되는 몇 가지 타입의 파일은 인덱스 이미지로 되어 있다. 그런데 김프의 많은 도구나 필터들은 한정된 색상을 가지고 있는 인덱스 이미지에서는 쓸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작업하기 전에 RGB 모드로 변환을 한다. 그리고 저장을 할 때는 다시 인덱스 이미지로 저장하면 된다.

김프에서는 이미지 메뉴의 모드 명령어를 이용하면 이미지 모드간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몇가지 경우, 예를 들어 RGB 에서 회색톤이나 인덱스로 변환을 하는 경우 색상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그리고 이 손실은 다시 RGB 모드로 변환을 해도 복원할 수 없다.

[참고] 참고

이미지에 필터를 적용하려고 할때 만약 해당 메뉴가 비활성된다면, 대부분은 이미지나 레이어의 모드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이다. 대부분의 필터들은 인덱스 이미지에서 사용불가능하고, 일부는 RGB나 회색톤 전용이다. 또 일부는 알파 채널의 유무를 요하기도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편집을 위한 이미지 모드 변환은 RGB 모드로의 변환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