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웹으로 이미지를 올리기 위한 준비

고친 과정
고침 $Revision: 1758 $ 2006-08-27 Mr.Dust

김프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용도 중 하나는 웹사이트에 올리기 위한 이미지 준비이다. 이 말은 이미지는 적정한 크기일때 가장 보기 좋다라는 의미이다. 다음 과정을 따라하다보면 최소화의 화질 저하로 파일 크기를 줄이는 법을 배우게 될 것이다.

2.1. 이미지의 최적의 크기/화질 비율

웹에 최적화된 이미지는 사용하려는 이미지의 타입과 파일 포맷에 따라 달라된다. 다양한 색상이 들어간 사진을 사용하려 한다면, JPEG 포맷이 적절하다. 그리고 적은 수의 색이 사용된 버튼이나 스크린샷같은 이미지라면 PNG 포맷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이와 같이 적절한 포맷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한 안내이다.

  1. 먼저 이미지를 연다. 아래는 예제로 윌버 그림을 사용하였다.

    그림 6.2. 윌버 그림이 RGBA 모드로 열려있다.

    윌버 그림이 RGBA 모드로 열려있다.

  2. 위 이미지는 알파 채널이 추가된 RGB 모드(RGBA)로 되어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웹이미지에는 알파채널이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경으로 합치기 를 통해 알파채널을 없애도 된다.

    만약 사진 이미지를 열었다면, 굳이 알파 채널을 제거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진 이미지에는 알파채널이 없어서 RGB 모드로 열리기 때문이다.

    [참고] 참고

    이미지에 부드럽게 전환되는 투명 부분이 있다면, 알파 채널을 제거할 수 없다. 이는 그럴 경우 이미지에 사용된 페이드 아웃과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단, 투명한 부분이 GIF 처럼 부드러운 전환이 아니라면 알파 채널을 제거할 수 있다.

  3. 이미지를 배경으로 합쳤으면, PNG format 으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참고] 참고

PNG 포맷의 기본값으로 저장할 경우, 압축률은 최대가 된다. 하지만 이는 JPEG 포맷과는 달리 이미지의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사진과 같이 색상이 많은 이미지라면 JPEG 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의 중요한 것은 화질과 압축의 적절한 타협이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JPEG 를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