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투명한 부분이 있는 이미지 저장하기

투명한 부분을 지원하는 그래픽 파일 포맷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단순한 이진 투명도를 지원하는 GIF 포맷은 인덱스 색상표 중의 한 색상을 투명한 색으로 표시한다. 알파 투명도를 지원하는 PNG 포맷은 투명도에 대한 정보를 알파 채널 이라는 독립된 채널에 저장한다.

[참고] 참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경우를 제외하고 GIF 를 쓸 일은 별로 없다. 왜냐하면 PNG 가 GIF 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며, 그 외에 추가적인 기능(알파 투명도)까지 제공하기 때문이다.

절차 6.1.  알파 투명도를 가진 이미지 만들기

  1. 여기에서도 전 과정과 마찬가지로 김프 마스코트인 윌버 이미지를 예제로 사용한다.

    그림 6.4. 윌버 이미지를 RGBA 모드로 연다.

    윌버 이미지를 RGBA 모드로 연다.

  2. 알파 투명도를 가진 이미지로 저장하려면 먼저 알파 채널이 존재해야 한다. 먼저 채널 대화상자의 빨강, 녹색, 파랑 채널 아래에 알파 채널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없다면, 레이어 메뉴에서 알파 채널 더하기를 통해 알파 채널을 추가한다.

  3. 이제 완벽한 투명 배경을 얻기 위해 배경 레이어를 삭제하거나, 점점 투명해지는 그라디언트를 만든다. 하단의 윌버 그림에는 알파 채널을 통해 윌버 주위로 부드러운 빛이 그려져 있다.

  4. 모든 작업을 완료하였으면 PNG 포맷 으로 저장하면 된다.

그림 6.5. 배경 레이어의 중간색은 저장된 이미지의 투명한 영역을 의미한다.

배경 레이어의 중간색은 저장된 이미지의 투명한 영역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