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Combining images with GIMP

차례

1. 레이어
1.1. 레이어의 속성
2. 새 레이어 만들기
3. 텍스트와 폰트
4. 문자
4.1. 문자 꾸미기
4.2. 폰트 추가하기
4.3. 폰트 문제

1. 레이어

김프 이미지를 구체화시키는 좋은 방법은 층층히 쌓인 투명한 슬라이드를 그려보는 것이다. 이 각각의 슬라이드를 레이어 라 부른다. 이 레이어의 갯수는 시스템 메모리가 충분하다면 무한하게 갖을 수 있다. 그렇기에 고급 사용자들이 작업하는 이미지에 수십 개의 레이어가 있는 것은 드믄 일이 아니다.

이미지의 레이어 구조는 레이어 대화상자를 통해 보여진다. 이 대화상자는 기본 도구상자에 이어 김프에서 두번째로 중요한 창이다. 레이어 대화상자의 모습은 인접한 삽화에서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레이어 대화상자 섹션에서 다룰 것이고, 여기서는 몇가지 특징들과 속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열린 이미지들은 각각 한 번에 하나의 활성화 drawable을 갖는다. 이 "drawable" 은 김프의 레이어, 채널, 레이어 마스크, 선택 마스크 등을 포함하는 김프 개념 중 하나이다(기본적으로 "drawable" 은 페인트 도구로 그릴 수 있는 모든 공간을 의미한다). 레이어가 활성화되면 레이어 대화상자에 밝게 표시되며, 해당 레이어의 이름이 이미지 창의 상태창에 표시된다. 레이어를 활성화시키려면 레이어 대화상자에서 원하는 레이어를 클릭하면 된다. 어떤 레이어도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그것은 레이어가 아닌 다른 곳이 활성화된 drawale 이라는 의미이다.

이미지 창의 메뉴바의 레이어 메뉴를 보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레이어에 적용가능한 명령들이 있다. 혹은 레이어 대화상자에서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누르면 같은 메뉴를 볼 수 있다.

1.1. 레이어의 속성

이미지의 각 레이어들은 다음과 같은 주요 속성을 갖는다. :

이름

레이어는 각각 고유의 이름이 있고, 이것은 레이어 생성시에 자동으로 부여된다. 이 이름을 바꾸려면 레이어 대화상자에 있는 레이어 이름을 더블 클릭하거나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을 해서 맨 위의 레이어 속성 변경 메뉴를 이용하면 된다.

알파 채널의 존재 유무

전 장에 설명한대로 알파 채널은 레이어의 각 픽셀이 얼마나 투명한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것은 채널 대화상자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데, 흰색은 불투명, 검정색은 투명, 회색은 반투명한 것이다. 모든 레이어에 알파 채널이 있는 것은 아닌데, 특히 흔히 "배경" 이라고 이름붙는 최하단의 레이어는 대부분 알파 채널이 없다. 즉, 레이어의 모든 점이 완전히 불투명한 것이다. 그리고 알파 채널이 없는 레이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생성된다. 투명도를 지원하지 않는 파일 형태의 파일을 열는 경우, 파일새 이미지 를 이용해 바탕이 투명한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레이어들을 배경으로 합치기로 하나의 레이어로 합칠 경우.

배경 레이어가 아닌 모든 레이어는 알파채널을 갖고 있다(배경 레이어의 경우는 선택사항이다). 대부분의 동작은 알파채널이 없이는 불가능한데, 그 확실한 예가 레이어의 상하위치를 바꾸는 것이다(배경레이어는 항상 최하단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을 할수 없도록 알파채널이 없다). 그리고 투명성을 요하는 작업 역시 마찬가지이다. 알파 채널이 없는 레이어에 알파 채널을 추가하려면, 레이어투명알파 채널 더하기 메뉴를 이용하거나, 레이어 대화상자에서 마우스 오른쪽버튼 클릭을 하면 나타나는 메뉴에서 알파 채널 더하기 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알파 채널을 삭제하려면 레이어 대화상자의 최하단 레이어를 활성화시키고, 레이어투명Semi-Flatten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레이어 종류

레이어 종류는 이미지의 종류나 알파 채널의 유무로 결정된다. 다음은 그 종류들이다. :

  • RGB

  • RGBA

  • 그레이

  • 그레이A

  • 인데스

  • 인데스A

이렇게 분류되는 가장 큰 이유는 대부분의 필터 들이 각자에 적합한 종류의 레이어에만 적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활성화된 레이어에서 특정 필터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그 레이어가 해당 필터를 적용할 수 있는 종류의 레이어가 아니라는 말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대부분 이미지의 모드를 바꾸거나 알파 채널을 추가/삭제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보기

"보기 전환" 라는 것은 레이어 대화상자에서 "눈" 모양을 클릭함으로써 특정 레이어를 손상시키지 않고 일시적으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대부분의 동작들은 보기 기능이 꺼진 레이어들을 마치 없는 것처럼 취급한다. 만약 다양한 투명도의 꽤 많은 레이어를 포함한 이미지로 작업을 하는 경우, 보다 나은 이미지를 위해 몇몇 레이어들은 숨겨둘 필요도 있을 것이다.

[작은 정보] 작은 정보

Shift 버튼을 누른채 눈 모양을 클릭하면, 방금 클릭한 레이어를 제외한 모든 레이어를 숨길 수 있다.

다른 레이어와 연결

눈 모양 아이콘과 레이어 미리보기 사이를 클릭하면, 연결 아이콘( )이 나타난다. 이것을 이용해 움직이거나 변형하기 등의 복수 레이어에 적용해야 하는 동작들을 위해 레이어들을 그룹지을 수 있다.

크기

김프에서는 레이어의 경계가 이미지의 경계와 같은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글자를 썼을 때, 글자 아이템들은 각기 딱 글자크기에 맞는 새 레이어에 생성되게 된다. 또한 잘라내기-붙여넣기 를 이용해 새로운 레이어를 만들 경우에도 새 레이어는 붙여진 부분의 크기로 결정될 뿐이다. 이미지 창에서 현재 활성화된 레이어의 경계는 검정과 노랑이 섞인 점선으로 표시된다.

이 점선 밖의 공간에서는 아무런 작업도 할 수 없는데, 그것은 실제로 거기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에 부딪힐 경우에는, 레이어 메뉴의 하단에 있는 몇 가지 명령들을 통해 레이어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참고] 참고

레이어가 차지하는 메모리의 총량은 레이어의 내용이 아닌 넓이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큰 이미지나 많은 레이어를 가진 이미지로 작업을 한다면 레이어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투명도

레이어의 투명도는 바로 밑에 위치한 레이어의 색상을 얼마만큼 투과시킬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투명도의 범위는 0부터 100으로, 0은 완전 투명, 100은 완전 불투명이다.

모드

레이어의 모드는 레이어의 색상을 하위 레이어의 색상과 어떠한 방식으로 혼합시킬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상당히 복잡하나 그만큼 중요한 것으로 레이어 모드 에 따로 설명이 되어 있다.

레이어 마스크

레이어 마스크는 알파 채널과는 별도로 레이어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 레이어와 연동된 추가적인 회색톤 영역이다. 이것은 기본값으로는 레이어에 없으며, 따로 추가를 해주어야 한다. 레이어 마스크에 대한 설명은 이 장의 후반부에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투명도 유지" 설정

레이어 대화상자의 우측 상단을 보면 "투명도 유지" 라는 조그만 확인 상자가 있다. 만약 이것이 체크되어 있다면, 레이어의 알파채널이 잠겨 어떤 편집작업의 영향도 받지 않게 된다. 특히 레이어의 투명한 부분에는 어떠한 작업도 할 수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