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폰트 추가하기

이 장에서는 대략적인 내용만 다룰 것이므로, 김프 폰트에 대한 자세하고 정확한 정보는 김프 웹사이트의 Fonts in GIMP 2.0 페이지를 참고해라.

김프는 FreeType 2 폰트 엔진을 이용해 폰트를 구현하며, 관리를 위해 Fontconfig 를 사용한다. Fontconfig 의 폰트 경로나 김프 폰트 찾기 경로에 있는 모든 폰트를 사용할 수 있다. 김프 폰트 찾기 경로는 기본 설정 대화상자의 폰트 폴더에서 설정할 수 있다. 폰트 찾기 경로는 김프의 시스템 폰트 폴더와 김프 사용자 fonts 폴더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다른 폴더를 추가할 수도 있다.

FreeType 2 는 굉장히 강력하고 유연한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폰트 파일 포맷을 지원한다.

모듈 추가를 통해 다른 타입의 폰트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FREETYPE 2 를 참고하면 된다.

Linux.  리눅스 시스템의 경우, Fontconfig 유틸리티가 설치되어 있다면, 단순히 ~/.fonts 디렉토리에 새 폰트 파일을 추가하면 된다. 이럴 경우 김프뿐만 아니라 Fontconfig 를 이용하는 다른 프로그램에서도 해당 폰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김프에서만 해당 폰트를 사용하고 싶다면 김프 사용자 디렉토리의 fonts 폴더나 폰트 찾기 경로에 있는 다른 폴더에 집어넣으면 된다. 이러한 폰트들은 다음번 김프 시작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약 김프 실행 중 바로 사용하고 싶다면 폰트 대화상자에서 새로고침 버튼을 누르면 된다.

Windows.  폰트를 설치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폰트 디렉토리로 파일을 드래그한 후 실행되는 마법사를 따라 하는 것이다. 특별한 일이 없는한 기본 폴더는 C:\windows\fontsC:\winnt\fonts 에 위치한다. 폰트 파일을 더블클릭할 경우 때에 따라 단순히 폰트 내용을 보여주기만 하기도 하고, 때로는 폰트를 설치하기도 한다. 위의 방법대로 설치된 폰트는 김프 뿐만 아니라 윈도우즈의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다.

Type 1 파일을 설치하려면 .pfb.pfm 가 있어야 한다. 폰트 폴더에 위 파일들을 폰트 폴더에 집어넣는다. 한쪽이 없을 경우 찾기 알고리즘에 의해 다른 파일을 찾게 되기 때문에 사실 두 파일이 같은 폴더에 있지 않아도 된다.

원칙적으로 김프는 FreeType 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폰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김프 사용자 디렉토리의 폰트 폴더나 폰트 찾기 경로에 포함된 폴더에 있는 폰트를 윈도우즈가 사용할 수는 없다. 윈도우즈 버전에 따라 지원되는 폰트는 다양하다. 하지만 TrueTpye, Windows FON, Windows FNT 는 전부 지원한다. 윈도우즈 2000 이상에서는 Type 1 과 OpenType 폰트를 지원한다. 윈도우즈 ME 에서는 OpenType 과 Type 1 이 지원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김프 인스톨러는 공식적으로 윈도우즈 ME 를 지원하지 않는다.

[참고] 참고

김프는 리눅스에서와 마찬가지로 윈도우즈에서도 폰트 관리를 위해 Fontconfig 를 사용한다. Fontconfig 는 기본적으로 윈도우즈 폰트 디렉토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윈도우즈 자체에서 사용하는 폰트들을 사용하게 된다. 만약 Fontconfig 가 다르게 설치되었다면, 김프가 폰트를 찾을 수 있도록 폰트가 있는 폴더를 지정해줘야 한다. 물론 이런 것과 관계없이 김프 사용자 디렉토리의 폰트 폴더에 있는 폰트는 사용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