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김프는 굉장히 많은 그래픽 파일 포맷들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김프의 기본 포맷인 XCF 파일을 제외한 다른 파일 타입의 관리는 플러그인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파일 포맷을 지원하도록 확장하는 것이 쉽습니다.
각 파일 포맷은 용도에 따라 쓰임새가 다릅니다. 여기에서는 각 포맷의 장단점에 대해 이야기할 것입니다.
이미지 편집을 완료했으면, 이제 결과를 저장해야 한다(사실 작업 중간중간에 저장을 해두는 것이 좋다. 김프는 상당히 안정적인 프로그램이지만, 떠도는 말에 따르면 간혹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한다). 저장가능한 파일 포맷은 김프로 열 수 있는 모든 포맷이다. 이 중에서 XCF 파일은 조금 특별한데, 이것은 김프 고유의 포맷이다. 이 포맷을 이용하면 이미지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 굉장히 유용하다 (단, “되돌리기” 정보는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이 XCF 포맷은 작업 중간에 저장하기에 적당한 포맷이고, 또 나중에 김프로 다시 열어보기에도 좋다. 하지만 대부분의 그래픽 뷰어에서는 이 포맷을 읽을 수 없으므로 최종적인 결과물은 널리 사용되는 JPEG, PNG, TIFF 등의 포맷으로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를 저장하는 명령어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방법들을 사용하는 법은 파일 메뉴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김프를 이용하면 이미지를 다양한 포맷으로 저장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어, 투명도 등 이미지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김프 전용 포맷인 XCF 뿐입니다. 다른 모든 포맷들은 특정 속성만 보존할뿐 나머지는 모두 잃어버립니다. 이미지를 저장할때 김프에서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선택한 포맷의 특성은 사용자 자신이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김프 이미지의 모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은 김프 전용 포맷인 XCF 뿐입니다. 그 외의 포맷으로 저장을 하려고 하면 김프 는 어떠한 정보가 손실될 것인지 알려주며, 해당 파일 타입으로 이미지로 "내보내기" 를 할 것인지 묻습니다. 내보내기 작업은 원본 이미지에는 아무런 변형을 가하지 않으므로, 이 작업 자체만으로는 어떠한 정보도 손실되지 않습니다.
![]() |
참고 |
---|---|
이미지를 닫을 때(혹은 김프를 종료할 때) 해당 이미지가 "변경된" 것이라면(변경된 후에 저장이 되지 않은), 경고가 나타납니다. 그리고 어떠한 형태의 파일 포맷이든 저장을 하게 되면,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보전하지 못하더라도 이미지는 "변경되지 않은" 이미지로 간주되어집니다. |